SDG&교육사업 1 페이지
교육협력사업
본문
“UN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목표(SDG)와 교육사업“
목표 | UN Description | 재단 사업 | |
모두에게 포괄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을 보장하고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 4.2 2030년까지 초등교육을 받기 위한 양질의 조기아동양육, 케어, 유치교육 제공 4.3 2030년까지 대학을 포함하여 양질의 기술, 직업, 고등교육 제공 4.b 2020년까지 직업훈련, ICT, 기술, 엔지니어링과 과학프로그램을 포함한 고등교육을 위해 많은 국제적 장학제도 제공 4.c 2030년까지 개발국가에 교사양성을 위한 국제협력을 포함 양질의 교수 공급 |
평양과학기술대학은 2010년 개교이래 학부, 대학원과정으로 북한의 현실에 필요한 농업, 국제금융, 산업자동화 등 대학기초학문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산간벽지의 어린이시설에 교육물자를 지원하여 꿈을 키우고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012년부터 영국, 스웨덴, 브라질, 중국 등 장학프로그램으로 농생명학부 해외유학을 보내고 있습니다. 대학의 교직원들은 코로나 이후 다양한 형태의 교육과 교수기법을 현지에 전수하고 있습니다. |
||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하고 포괄적인 경제성장, 고용, 양질의 일자리를 증진 8.3 생산적 활동,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업가정신, 창의성 및 혁신을 지원하고 (중략) 개발 지향 정책을 촉진합니다 |
대학의 지산단지(R&D센터)는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의 치료백신 유전자 조합으로 북측에 적용될 수 있는 시제품개발의 설계 등을 하고 있습니다. 대학원 졸업후 대학교원이나 지산단지에 남아 연구개발, 기업소 인큐베이팅 역할 |
||
|
본문
목표 | UN Description | 재단 사업 | |
탄력적 인프라 구축/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산업화 증진/ 혁신 촉진 9.1 지역적, 국가경계간 인프라를 포함 경제발전과 모든 이들이 접근가능한 웰빙을 위한 지속적 탄력적 인프라 9.5 2030년까지 혁신을 장려하고 인구 100만 명당 연구개발 인력과 공공 및 민간 연구개발 지출을 크게 늘리는 등 모든 국가, 특히 개발도상국의 산업 부문 기술 역량을 향상 |
대학의 지산단지에 여러 연구소를 건립하여 해외유학을 마치고 온 우수인력과 대학원 졸업생들을 벤처창업형태의 조직에서 북한의 현실에 맞는 모델을 만들어 확대재생산합니다. 산학협동을 추구하며 현지 사회에 필요한 연구과제를 도출할 뿐 아니라 기후변화, 환경 등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도 연구하여 기여하려고 합니다. |
||
육상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사용을 보호, 복원 및 촉진/산림의 지속 가능한 관리/사막화 방지/토지 훼손 중지 및 되돌림/생물 다양성 손실 방지 15.3 2030년까지 황폐화를 막고 사막화, 가뭄, 홍수 등으로부터의 영향을 포함한 땅과 토양의 회복 15.4 2030년까지 생물의 다양성을 포함한 산의 생태계 보존 |
평양과학기술대학은 북한의 기후변화와 식생, 토양에 맞는 조림을 위해 수종개발과 육묘장 등을 통해 산림녹화사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홍수, 가뭄 등 자연재해 구호활동과 나무심기 및 연탄은행과의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농생명학부는 곤충, 육종학 등 생물의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전공과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
|